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 공부3

[부동산 공부] 주택구입능력지수(HAI)와 한국형 주택구입부담지수(K-HAI)의 의미 집 값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는 지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PIR)' 지수인데요. PIR 지수와 더불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지표는 '주택구입능력지수(HAI)'와 한국형 주택구입부담지수(K-HAI)' 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부동산 관련 뉴스와 경제지에서 자주 언급되는 주택구입능력지수(HAI)와 한국형 주택구입부담지수(K-HAI)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지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주택구입능력지수(HAI) 주택구입능력지수를 의미하는 HAI는 Housing Affordability Index의 약자입니다. 세계적으로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주택가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와 비슷한 방법입니다. HAI 지수.. 2023. 6. 9.
[부동산 공부] 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 PIR 지수의 의미와 지표 보는 곳 집 값이 얼마나 비싼지 알아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지표 중 가장 많이 인용되는 것이 PIR 지수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부동산 관련 뉴스와 경제지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 PIR 지수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PIR 지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IR 지수 PIR 지수는 Price Income Rate의 약자로 우리말로 하면 소득대비 주택가격지수 비율입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연소득으로 특정 지역 또는 국가의 주택을 구입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하면 '숨만 쉬고 월급을 몇 년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IR 지수 = 주택가격 / 연소득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평균 아파트 가격이 6억 원이고, 그 지역의 .. 2023. 6. 8.
[부동산] 땅값의 종류 - 공시지가, 기준시가, 시가표준액, 실거래가, 호가의 뜻과 차이점 땅에는 가격이 있습니다. 그래서 부동산 거래를 할 때, 땅 값을 치르고 소유권을 양도받게 됩니다. 그런데 부동산에는 여러가지 가격이 있습니다. 공시지가라는 것도 있고, 기준시가라는 것도 있고, 실거래가라는 것을 말하기도 합니다. 뉴스에서는 치솟는 아파트 호가에 대해서 말하기도 합니다. 마트에가서 물건을 살 때는 가격이 하나인데 부동산은 왜 가격이 여러개일까요? 공시지가와 기준시가, 실거래가와 호가 등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거래가, 호가 부동산의 실거래가와 호가는 부동산 매물과 관련된 가격입니다. 집주인이나 땅주인은 가지고 있는 부동산을 팔기 위해 공인중개소에 매물로 내놓습니다. 이 때, 팔고자하는 가격을 매겨서 매물로 내놓게 되는데요. 이 가격이 호가입니다. 집주인이 부르는 가.. 2021. 8.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