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HAI2 [부동산 공부] 주택구입능력지수(HAI)와 한국형 주택구입부담지수(K-HAI)의 의미 집 값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는 지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PIR)' 지수인데요. PIR 지수와 더불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지표는 '주택구입능력지수(HAI)'와 한국형 주택구입부담지수(K-HAI)' 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부동산 관련 뉴스와 경제지에서 자주 언급되는 주택구입능력지수(HAI)와 한국형 주택구입부담지수(K-HAI)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지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주택구입능력지수(HAI) 주택구입능력지수를 의미하는 HAI는 Housing Affordability Index의 약자입니다. 세계적으로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주택가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와 비슷한 방법입니다. HAI 지수.. 2023. 6. 9. [경제공부] 부동산 가격 지표 'PIR' 지수와 'RIR' 지수, 'K-HAI', 'K-HOI', 'PRR' 지수란? 주식과 마찬가지로 부동산에도 '적정가격'이라는게 있을겁니다. 적정가격보다 부동산의 시세가 올라가있다면 거품이 끼어있는 것이고 적정가격보다 시세가 내려와 있다면 저평가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의 적적가격을 판단하는데에는 다양한 지표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 사용되는 것이 PIR과 RIR입니다. PIR (Price Income Ratio) PIR은 'Price Income Ratio'의 약자로 소득대비 주택가격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연소득으로 특정 지역 또는 국가의 집을 사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즉, 소득을 한푼도 안쓰고 모아서 집사는데 몇 년이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PIR = 집 값 / 연 소득 예를 들어 연소득이 50.. 2021. 7.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