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16

2022 국내 건설사 도급 순위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공동주택은 입지가 제일 중요합니다. 입지 다음으로 중요한게 브랜드인데요. 비슷한 위치에 있는 공동주택이라도 브랜드가 좋으면 조금 더 비쌉니다. 같은 지역에 비슷한 규모라고해도 1군 건설사가 시공한 아파트나 오피스텔이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해서 단지의 구성과 편의시설, 세대구성과 내부 평면, 마감재와 디자인이 더 좋을 것이라는 생각때문입니다. 따라서 아파트나 오피스텔 같은 공동주택 매매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건설사의 도급 순위나 브랜드 순위 같은데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특히 국내 건설사 도급 순위의 경우 건설사와 그 건설사의 브랜드 파워를 가늠할 수 있는 여러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국내 건설사 도급 순위란? 지난해 (2022년) 7월 국토교통부에서는 2022년도 국내.. 2023. 4. 17.
GS 건설 '자이(Xi)' 단독주택 건설 사업 진출 - 자이가이스트(XiGEIST) 2022년 시공능력평가 5위의 GS건설이 아파트뿐만 아니라 단독주택 건설 사업에도 진출한다고 합니다. 고급 레스토랑에서 메뉴를 골라 주문하는 것처럼 검증된 단독주택 브랜드의 집을 짓겠다는 것입니다. GS건설은 지난 1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목조모듈러주택 전문 자회사인 '자이가이스트'가 홈페이지를 열고 본격적인 B2C 영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자이가이스트(XiGEIST) 자이가이스트는 목조모듈러주택 전문회사입니다. 자이가이스트는 GS건설이 지난 2020년 100% 출자해 설립한 회사로 프리팹(Prefab) 공법을 이용해 집을 짓는 모듈러 단독주택 전문회사입니다. 프리팹은 공장에서 만든 패널을 정교하게 이어붙이면서 집을 만드는 선진공법입니다. 공장에서 집을 만들기 위한 구조체를 생산하기 때문에 균일한 .. 2023. 4. 16.
[부동산] 전세계약 확정일자 받는 방법 전세계약 이후에 꼭 해야하는 것 중 하나가 확정일자받기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전세계약 확정일자가 무엇인지, 왜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고 확정일자를 받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전세계약 확정일자란? 아파트나 빌라에 전세로 들어가고 싶으면 공인중개사무소에 방문해서 전세 매물들을 확인합니다. 내 예산과 조건에 맞는 전세 매물들을 확인하고 마음에 드는 매물의 임대인과 공인중개사무소에서 계약을 맺습니다. 전세 계약을 맺으면서 계약금을 걸고, 이사하는 날에 잔금을 치릅니다. 전세 보증금은 적은 돈이 아닙니다. 적지 않은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주고 2년간 거주를 하게 됩니다. 전세는 물권과 다르게 채권이다보니 부동산의 권리를 적는 등기부등본에 그 권리가 기재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전세 보증금의 채권우선확보를 .. 2023. 4. 14.
[주식] 주식 거래에서 발생하는 세금들 - 거래세, 양도소득세, 수수료 증권사 계좌를 개설하고 주식을 매매하다보면 야금야금 새어 나가는 돈들이 있습니다. 세금과 수수료가 바로 그런 돈들인데요. 주식 거래를 할 때 어떤 종류의 세금과 수수료가 붙는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런 돈들이 큰 돈은 아니지만 거래를 할 때마다 계좌를 야금야금 파먹기 때문입니다. 주식 거래시 발생하는 세금과 수수료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증권거래세 주식 시장에서 주식을 사고 파는 거래 행위를 하면 증권거래세라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주식 매매에 거래세를 부과함으로써 지나치게 단타위주의 투기성 거래를 방지하게 됩니다. 주식 거래를 할 때마다 세금이 붙기 때문에 작게 먹고 빠지는 형태로 자주 거래하는 투기성 거래에 페널티를 부과하는 것으로 주식을 사서 오랫동안 보유하라는 의도로 매겨지.. 2023. 3. 22.
[주식] 예수금과 증거금, 미수금과 반대매매 그리고 미수동결계좌 주식 거래를 하다보면 다양한 용어들을 알게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예수금과 증거금, 미수금과 반대매매 그리고 미수동결계좌라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예수금 주식거래에서 예수금은 주식거래에 사용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가지고 있는 돈입니다. 주식 거래를 하기 위해서 증권사의 주식 계좌에 돈을 입금해 놓으면 예수금으로 입금한 돈이 잡혀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증권사 계좌에 100만원을 넣어두었다면 예수금이 100만원인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 70만원어치 주식을 샀다면(매수) 예수금은 30만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반대로 가지고 있던 주식을 50만원어치 팔았다면(매도) 예수금은 다시 80만원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증거금 주의할 점은 주식을 사고 팔았을 때, 예수금이 실시간으로 변동하지 않는 다는 점입니.. 2023. 3. 11.
[주식] 기업분석 -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의 의미 좋은 회사를 고르기 위해서는 회사의 재무 상황을 분석할 줄 알아야합니다. 재무제표를 보다보면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라는 단어를 보게되는데요. 이 용어들은 모두 기업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들입니다. 각 용어들이 갖고 있는 의미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매출액 매출액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총 수익을 의미합니다. 어떤 기업이 100만원짜리 물건을 100개 판매했다면 100 x 100만원 = 1억원의 매출을 올린게 됩니다. 매출액 = 판매가격 * 판매량 영업이익 영업이익은 순수하게 영업활동을 통해 기업이 남긴 이익을 말합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판관비)를 제외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 2023. 3. 10.
[주식] 기업분석 - EPS, PER, BPS, PBR, ROE, ROA 의미 주식투자를 할 때 투자하고 싶은 기업이 얼마나 건전한 재정상태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야합니다. 곧 망할 기업이나 재정적으로 어려운 기업에 투자하게 되면 마음 고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죠. 기업의 재정상태를 분석하는데에는 다양한 지표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EPS, PER, BPS, PBR, ROE, ROA의 의미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지표들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상장되어 있는 기업이 얼마나 튼튼한 회사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EPS (주당순이익) EPS는 주당 순이익을 의미하는 용어로 'Earning Per Share'의 약자입니다. 기업의 기본적인 목표는 돈을 버는 것입니다. 우리는 돈을 잘 버는 기업의 주식을 소유하고 싶은데요. 어떤 기업이 얼마나 많은 돈을 버는지를.. 2023. 3. 6.
[주식] 증권사가 망하면 내 주식은? 주식 거래를 하기 위해 증권사에 계좌를 만들고,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HTS 혹은 MTS를 이용해서 주식 거래를 합니다. 증권사 계좌에 입금을 하고, 입금한 돈을 가지고 주식으로 사고 팔게 되는데요. 증권사 역시 기업이기 때문에 이익을 내야하고, 이익을 내지 못하면 다른 증권사에 인수합병되거나 파산하기도 합니다. 특히 IMF나 금융위기 같은 상황에서 증권사가 문을 닫았다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들리기도 하는데요. 최근 부동산 미분양으로 인한 유동성 위기가 증권사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게 아니냐는 뉴스가 뜨면서 문득 증권사가 망하면 내 계좌는 안전한지 궁금해졌습니다. 증권사 계좌와 예탁결제원 내 계좌에 있는 주식의 가격, 보유 주식 수 등을 증권사가 제공하는 앱이나 홈페이지, 프로그램을 통해 조회도기 때문에 .. 2023. 3. 5.
[주식] 보통주와 우선주 차이점 비교 주식 시장에서 종목을 찾다보면 '보통주'와 '우선주'라는 이름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 증시의 대표주인 '삼성전자'의 경우에도 '삼성전자(005930)'와 '삼성전자우(005935)'라는 두 가지 이름으로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005930)'의 경우 보통주이고, '삼성전자우(005935)'의 경우 우선주를 의미하는데요. 보통주는 무엇이고, 우선주는 뭐가 우선한다는 것일까요? 주식시장에서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통주 일반적으로 주식이라고하면 보통주(Common Stock)를 의미합니다. 어떤 회사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은 그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회사를 소유하고 있다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회사의 미래를 결정하는 주요 결정사항들에.. 2023. 3.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