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세2 전세사기 피해자 대책 - LTV/DSR 한시적 예외 및 경매 유예 최근 전세사기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세 제도의 헛점으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임대인 한 명이 100억원이 넘는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등 생각보다 그 규모가 큰데요. 인천시에 따르면 '건축왕' 남 씨 외에 '빌라왕' 김모씨 등 악성 임대인 3명이 소유한 인천시 주택이 3008채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 중에 2523채의 주택이 미추홀구에 있으며, 지난달 기준 2479채의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피해가 확인된 주택 중 1523채는 이미 경매절차가 진행중입니다. 경기도 화성 동탄과 병점, 수원 등지에 250채의 오피스텔을 소유한 부부와 관련된 전세사기 소식도 들려오고 있으며, 경기도 구리시에서는 20여명이 조직적으로 전세사기를 펼쳐.. 2023. 4. 21. [부동산] 전세계약 확정일자 받는 방법 전세계약 이후에 꼭 해야하는 것 중 하나가 확정일자받기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전세계약 확정일자가 무엇인지, 왜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고 확정일자를 받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전세계약 확정일자란? 아파트나 빌라에 전세로 들어가고 싶으면 공인중개사무소에 방문해서 전세 매물들을 확인합니다. 내 예산과 조건에 맞는 전세 매물들을 확인하고 마음에 드는 매물의 임대인과 공인중개사무소에서 계약을 맺습니다. 전세 계약을 맺으면서 계약금을 걸고, 이사하는 날에 잔금을 치릅니다. 전세 보증금은 적은 돈이 아닙니다. 적지 않은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주고 2년간 거주를 하게 됩니다. 전세는 물권과 다르게 채권이다보니 부동산의 권리를 적는 등기부등본에 그 권리가 기재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전세 보증금의 채권우선확보를 .. 2023. 4.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