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2 기가 인터넷, 기가 랜 카드 확인 방법 이번에 이사를 하면서 인터넷 설치를 변경해야 할 일이 생겼다. 새로 이사를 가면서 지금 사용하고 있는 100Mbps 인터넷을 해지하고, 남들 다 쓰는 기가인터넷을 사용하려고 찾아봤다. 기가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뎀이나 공유기 성능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랜카드가 기가랜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했다. 참고로 굉장히 오래된 컴퓨터가 아니라면 왠만하면 다 지원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기가 인터넷 사용을 위한 기가랜카드 확인 방법 1. [윈도우키] + [Pause] 키를 눌러 시스템 정보창을 띄운다. (혹은 파일 탐색기에서 '내 PC'를 우클릭 한 다음 [속성] 메뉴를 선택한다.) 2. "장치관리자" 항목을 선택한다. 3. 장치관리자 항목중, "네트워크 어댑터" 중에.. 2019. 6. 28. scoop 설치하기 - 커맨드라인 윈도우 프로그램 설치 소프트웨어 (Command-line installer for Windows) 개발을 하다보면 이런저런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할 때가 있다. 우분투 같은 리눅스에서는 apt-get install 을 사용하고, 맥에서는 brew install 같은 명령을 수행하면 쉽게 로컬 머신에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다. 반면 윈도우의 경우에는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설치 EXE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진행했다. Next 버튼을 눌러가며 설정을 진행하는 과정이 여간 귀찮은 것이 아니었다. 그러다가 윈도우에서 Gradle 을 설치해야할 일이 생겨서 찾아보다가 Scoop 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알게되었다. Scoop은 brew, apt-get 같이 명령하나로 쉽게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게 기능을 제공해준다. scoop.sh 홈페이지 홈페이지 이름도 "유닉스"스럽다. Scoop의 간단한 데모 .. 2019. 1. 8. 이전 1 다음 반응형